본문 바로가기

LA 이야기

AP 한국어 수업 채택 관련 검토

1. 서론
우리나라의 급속한 발전은 한국 기업과의 비즈니스 기회 확대와 함께 해외 진출한 한국 기업으로의 취직 등으로  한국어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최근 한류의 급속한 확산은 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고,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외국에 있는 한인에게 있어서도 한국어는 한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일깨워지는 주요한 부분이다. 우리나라를 외국에 알려지는데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한인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데도 한국어 보급은 중요한 부분이다. 
미국 한인사회의 한국어 보급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는 AP 한국어 프로그램 도입이다. AP 한국어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한국어 보급을 확대하고 많은 학생들이 한국어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이다. 
이 글에서는 미국 대학입시관련 제도와 한국어 교육 현황을 간략하게 살펴본 후 AP 한국어 수업의 채택과 관련된 이슈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2. 미국 대입관련 제도 

가. 개관
미국은 한국과 달라서 학교교육의 책임이 주에 있다. 미국은 삼군 사관학교를 제외하고는 국립대학이라는 것이 없다. 공립학교는 각주에서 개별적으로 설립, 운영하고 있고, 사립학교는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으면서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체제여서 각 학교의 졸업과 학위의 질적 수준에 대한 평가를 어렵게 한다.

이와 같이 제각각인 학교의 교육능력과 수준, 요구 교과과정에 통일성을 기하고 이를 공적으로 인증하기 위해 각 학교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관을 별도로 두고 있다. ACT와 컬리지 보드가 전국적 규모의 대입평가 시험을 주관하고 통일된 평가결과를 대학측에 제공하는 대표적인 평가기관이다. 이들 기관이 제공하는 주요한 시험으로 ACT, SAT, AP 등이 있다.

- ACT(American College Test) : 1959년 설립된 ACT에서 주관하는 시험으로 SAT와 함께 대학입학 전형에 쓰이는 대표적인 대입평가 시험이다. 영어.수학.독해.과학 4개 영역을 치르며 36점 만점이다. 논리력과 학업적성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는 SAT에 비해 실제학교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소화했는지 주로 평가한다.
- SAT(Scholastic Aptitude Test) : 미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대입시험이다. 1900년 설립된 컬리지 보드(College Board)에서 주관하는 시험으로 매년 300만명 이상의 학생이 응시한다. 추리력 시험인 SAT1과 과목별 시험을 SAT2로 나뉜다.
- AP(Advanced Placement) : 고등학생이 고등학교에서 미리 대학 학점을 수강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매년 5월에 시험을 치르며 22개 분야 37개 과목이다. 시험을 통과하면 대학에서 학점으로 인정해준다. 

나. AP프로그램
AP는 성적이 우수한 고교생에게 대학교육의 기초과목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컬리지 보드에서 1955년 만든 프로그램이다. AP 프로그램은 자신의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대학과정을 미리 맛볼 수 있어 진로선택에 큰 도움이 된다. AP 시험을 통과하면 대학 정식학점으로 인정받아 대학 입학시 금전적, 시간적 혜택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많은 대학의 입학 담당자들은 AP 과목 수강을 많이 한 학생에 대해 학문적으로 진취적이란 평가를 내리고, AP 성적을 레귤러 반 성적보다 가산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대학입학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3. 정규 학교 한국어 교육 현황
과거 15년간 한국어반 설치를 기준으로 미국내 초.중.고등학교 학교의 한국어 교육의 확대추이를 보면 학교수는 3배, 학급수는 8배, 학생수는 4.7배에 이른다. 11학년도 기준으로 한국어반이 개설된 학교는 총 76개 학교로, 이중 한인이 집중된 캘리포니아주가 48개교로 전체의 63%를 차지한다. 이러한 한국어 교육의 확대는 대한민국 국력의 신장, 한류의 확산 등과 함께 1995년 SAT시험에 한국어가 채택된 데 기인하는 바가 크다 볼 수 있다.
학년도학교수학급수학생수비한인학생 비율
96/9723511,405명약 18%
11/1276
초등 17
중등 14
고등 45
4086,550명45%


이러한 전반적인 확대추세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론 한국어반이 폐강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지난 15년간 62개 학교(초등 12개교, 중등 28개교, 고등 22개교)에서 한국어반이 폐강되었다. 이러한 한국어반 폐강의 원인을 살펴보면, 연방정부 지원금이 주어지는 기간에만 실시하는 경우, 등록 학생수가 미달하는 경우, 중국어반으로 대체하는 경우 등이 있다.

4. AP 한국어 채택

가. AP 한국어 채택의 이점
AP 과목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수한 학생들의 엘리트 코스로 인식되어 대학진학 평가의 주요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대학진학 후에도 경제적, 시간적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고등학교 학생들이 수강하고자 하여 최근 10년간 수강학생이 두배로 늘어난 상태이다. LA 지역같은 경우 교육당국에서 성적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AP과목의 문호를 열고 있어 일부 학교의 경우 추첨을 통해 AP과목을 배정할 정도로 인기가 있다.(자유등록정책에 따라 LA 지역은 2009년도 12.5%에서 올해 17.7% 학생이 AP 과목을 수강한다)
이러한 AP 과목에 한국어가 채택된다면 많은 중.고등학교 학생에게 한국어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주요한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재미한인 2세의 정체성 확립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나. 채택 가능 여부
그렇지만 AP 과목으로 한국어를 채택하는게 희망만으로 이루어지는건 아니다. AP 프로그램을 주관하는 컬리지 보드에서는 AP 한국어 과목 채택을 위한 조건으로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많은 대학에서 AP 한국어의 필요성과 채택에 지지할 것. 둘째, 500개교 이상의 중.고등학교에서 한국어 정규수업이 이루어질 것 셋째, 500개교 이상의 고등학교에서 AP 한국어 시험장소를 제공할 것. 넷째, AP 한국어 교과 과정과 시험 개발용 지원금 150만불 제공을 내걸고 있다.
여러 조건중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조건이 500개이상 중.고교에서 한국어 정규 수업을 실시하여야 한다는 조건이다(500개교 이상을 요구하지만 중국어의 경우 263개 교에서 수업이 실시되는 시점에서 실시되었고, 컬리지보드측도 지속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실시 학교수만 확보하면 가능하다는 입장임). 한국어 수업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한국어 수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충분하다는걸 보여달라는 입장과 다를 바 없다.

다. AP 한국어 프로그램 채택 전략
한국어를 AP 과목으로 채택하기 위해서는 세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우선 많은 학생이 한국어 수업을 듣기를 희망하여야 한다. 이는 한인사회가 주축이 되어 많이 한인학생들이 한국어 수업에 참여하여 정체성을 형성시켜 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인종의 학생이 한국어 수업에 참여하여 학생의 다양성을 확보하여야만 한국어 수업의 외연을 계속 넓혀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질높은 한국어 수업을 제공할 수 있는 유능한 교사가 확보되어야 한국어 수업의 계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국어 수업 참여 학생이 늘어나더라도 한국어 수업의 질적 수준이 확보되지 못하여 참여학생을 실망 시킨다면 한국어 수업은 계속 확장되기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수업을 학교에서 채택하기 위해 의사결정 과정에 간여할 수 있는 협상전문가이다. 국어 수업을 확대하기 위해선 우선 학교측과의 원활한 접촉을 통해 한국어 수업이 채택되게 할 수 있는 전문가집단이 필요할 것이다. 학교 입장에서 한국어 수업을 채택할 동인이 없는 상태에서 학교 운영진 또는 학부모 등 Opinion Leader 측과의 접촉을 통해 한국어 수업 채택의 필요성을 전달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할 것이다. 
이 세가지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자 가장 어렵고 다루기 어려운 부분이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는 부분이다. 한국어를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매력적인 언어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브랜드의 제고, 한류의 확산, 이중언어 사용 가치의 제고, 한인사회의 적극적 홍보 및 참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단순히 AP 한국어 프로그램을 도입에만 집중하여 무리하게 한국어 수업 채택 학교를 늘리려는 시도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보다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게 필요하다.

5. 결론
지금까지 AP 한국어 프로그램 도입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명히 하여야 할 부분은 AP 한국어 프로그램 채택이 미국내 한국어 보급 정책의 목표가 되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이다. 한국어 보급의 기본 목표는 보다 많은 외국인과 재외 한국인이 한국어를 접하고 사용하여 한국과 한국문화를 알리는데 있다. 그런 점에서 AP 한국어 프로그램은 한국어에 익숙한 학생이 한국어를 심화하여 학습하게 한다는 점에서 한국어 보급의 기본 목표와 차이를 보인다. 
물론 AP 한국어도 큰 틀에서 한국어 보급에 기여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지만 한국어 보급의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가 되는 건 곤란하다는 것이다. AP 한국어 프로그램 채택은 보다 많은 학교에서 한국어 수업을 채택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중간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 보급의 동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아야 할 것이다.